30세 미만 시점에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젊은 파브리병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분석 결과
페이지 정보
제목 | 30세 미만 시점에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젊은 파브리병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분석 결과 | ||
---|---|---|---|
조회 | 133 | 날짜 | 2024-06-04 17:45 |
관련링크
본문
30세 미만 시점에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젊은 파브리병 환자들에 대한 임상적 분석 결과
Clinical outcomes among young patients with Fabry disease who initiated agalsidase beta treatment before 30 years of age: An analysis from the Fabry Registry
1. 서론
최근 전형적 파브리병 환자에 대한 파브리병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기 검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을 시 파브리병의 진행으로 예후와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큰 젊은 환자에 대한 임상적 자료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요법을 시작한 5세~30세 사이의 젊은 여성, 남성 파브리병 환자들의 신장 기능, 다양한 심장 관련 임상 수치, 그리고 소화계 및 신경통에 대한 임상 자료를 수집해 고찰할 것입니다.
2. 방법론
2.1. Fabry Registry : 2022년 3월 4일 기준 Fabry Registry의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Fabry Registry에는 전 세계 파브리병 환자 중 해당 프로그램에 등록한 환자의 임상 기록 및 건강 데이터를 모읍니다.
2.2. 파브리병 환자 :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요법을 시작한 5세~30세 사이의 젊은 여성, 남성 파브리병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전형적 파브리병에 대응하는 유전자, 혹은 분류되지 않은 유전자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므로 나이가 들어서 발병한 경우, 혹은 Fabry Registry에 유전자형이 보고되지 않은 경우는 제외했습니다.
2.3. 임상 데이터 : 신장 기능은 사구체여과율로 계산했으며, 심장초음파검사는 심실 중격 두께(IVST), 좌심실 후벽 두께(LVPWT)를 측정했습니다. 환자 자체적으로 복부 통증, 설사, 파브리병 유관 신경통 등을 보고했습니다.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 중지 시의 모든 데이터는 배제했습니다.
2.4. 통계 분석 방법론 : 다양한 통계 수치를 성별, 그리고 전형적 파브리병/미분류 돌연변이에 의한 파브리병 환자군 별로 계산했습니다. 각 수치는 횟수, 퍼센트, 평균, 중간값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카테고리 변수는 Chi-square test로,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는 Wilcoxon rank sum test를 통해 P-value(낮을수록 수치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를 계산했습니다. 이후 선형 혼합 모델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사구체여과율의 변화, 그리고 IVST와 LVPWT의 Z-score를 예측했습니다. 각 분석 그룹에 대해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계산해 직선 그래프를 하나씩 만든 것입니다.
사구체여과율의 경우 소변 내 단백질 대비 크레아틴의 비율, 혹은 소변 내 알부민 대비 크레아틴의 비율을 활용해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집단과 적게 영향받은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기울기를 계산했습니다.
IVST와 LVPWT는 몸 표면적에 따라 보정했으며, Z-score 수치(높을수록 평균값보다 높음)로 변환했습니다.
소화계 이상 혹은 통증에 대한 자체 보고 답변들은 ‘예’ 혹은 ‘아니요’로 정의했으며 역시 P-value를 계산해, 연구 시작 단계 대비 최종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환자가 증상을 보였는지 비율을 비교했습니다.
모든 분석 방법론에 대해 P-value가 0.05 미만일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였습니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소프트웨어 9.4를 활용했습니다.
3. 결과
3.1. 연구 시작 단계에서의 환자 현황 및 임상적 특징 : 본 연구는 524명의 남성, 261명의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5세~30세 사이였습니다. 전형적 파브리병 환자와 미분류된 돌연변이에 의한 파브리병 환자의 비율은 거의 같았습니다. 파브리병 증상을 처음 보인 나이는 남성이 더 어렸으나, 진단받은 나이는 거의 같았습니다. 처음 진단을 받고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남성이 더 짧았으며 치료 시작 나이도 어렸습니다.
남성 환자의 경우 사구체여과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낮았으며 IVST 및 LVPWT의 Z-score는 더 높았습니다. 만성적 신경통은 연구 시작 단계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증상이었으며, 복부 통증과 설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급성 통증은 가장 적게 보고되었습니다.
3.2. 신장 기능 : 524명의 남성 중 140명의 데이터를 사구체여과율 예측 모델 기울기 계산에 활용했습니다. 계산 결과 사구체여과율 기울기는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집단의 경우 –1.18, 많이 영향받은 집단은 –2.39 수준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환자의 수가 적어 계산하지 않았으며,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집단의 경우 사구체여과율 예측 모델 기울기는 –0.92 수준이었습니다.
3.3. 심장 초음파 검사 : 남성의 IVST Z-score 분석 시 어린 환자, 나이든 환자로 그룹을 나누었습니다.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8, 그리고 –0.03이었습니다. 연구 개시 시점에 각 그룹의 Z-score와 연구 기간은 유사했습니다. 각 그룹에 대한 LVPWT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3, 그리고 –0.08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남성 대비 IVST 및 LVPWT Z-score에 대한 데이터가 적었습니다. 비교적 어린 환자의 경우 IVST Z-score의 기울기가 0.003, 나이든 환자의 경우 0.10 수준이었습니다. 연구 개시 시점에 어린 여성 환자 그룹의 IVST Z-score 중간값은 0.7이었으며, 23.4세 이상 여성 환자 그룹의 중간값은 –0.2이었습니다. 각 그룹의 연구 기간은 유사했습니다. 또한, 각 그룹에 대한 LVPWT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3, 0.18이었습니다.
3.4. 자체 보고 증상 : 조사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시점에서 남성 환자의 경우 기존 대비 만성 신경통과 급성 통증의 보고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복부 통증과 설사의 보고율도 감소했으나, P-value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조사 기간이 2.5년 이상인 시점에서 복부 통증, 설사, 만성 신경통, 급성 통증 등 모든 증상에 대한 보고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조사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시점에서 여성 환자의 경우 기존 대비 설사와 급성 통증에 대한 보고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복부 통증과 만성 신경통의 보고율도 감소했으나, P-value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조사 기간이 5.4년~6.1년 수준인 시점에 복부 통증에 대한 보고율은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나, 설사, 만성 신경통, 급성 통증에 대한 보고율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연구 시작 시점에 복부 통증, 설사, 급성 통증에 대한 설문에 “아니요”라고 답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연구 종료 시점에도 각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했습니다.
4. 고찰
본 연구에서는 Fabry Registry 상의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5세~30세 남성, 여성 파브리병 환자들의 중요한 임상적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 그리고 자체 보고 증상에 대한 변화 추이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본 연구는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 지속 시,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남성과 여성 환자 집단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남성의 집단의 경우 더 큰 감소세가 보였습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자체 보고 증상의 경우 특히 남성 환자 사이에서 높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파브리병 특화 치료법은 그 역사가 20년을 넘어가나, 대부분의 연구는 비교적 치료를 늦게 시작하는 사례에 대한 임상 결과를 주로 다룹니다. 이 시점에는 이미 주요 기관에 돌이킬 수 없는 병리적 변화가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비교적 이른 나이에 시작하는 사례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 분석 연구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본 연구는 소아, 청소년, 그리고 비교적 어린 성인에 대해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가 파브리병에 대해 어떤 임상적 효과를 가져오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린이 파브리병 환자의 경우 GL-3 분자가 다양한 신장 세포에 축적되어 세포, 그리고 조직에 손상을 가합니다. 이 손상은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거나 단백뇨가 나오기 전부터 발생합니다. 본 연구진은 신장이 얼마나 영향받았는지 정도에 따라 그룹을 분리해 신장 기능을 평가하였습니다.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그룹의 경우 적정 수준의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반면 신장이 크게 영향받은 그룹의 경우 더 사구체 여과율이 더 빠르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더 많은 나이에 치료를 시작한 남성 환자는 더 빠른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심장에 GL-3가 축적될 경우 다양한 심장 세포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따라 조직 손상이 발생하며, 염증과 좌심실비대증, 심장 섬유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서 소아, 그리고 청소년 파브리병 환자에게서 좌심실비대증의 증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개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IVST와 LVPWT의 Z-score가 거의 변동이 없음을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일부 선행 연구에서는 좌심실비대증이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18세~29세 남성의 좌심실비대증 증상이 완화됨을 밝혀냈습니다.
복부 통증과 설사는 GL-3에 의한 장내 소섬유신경병증과 신경절병증, 혈관염, 그리고 염증성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후근신경절과 신경혈관 내피세포에서의 GL-3 축적이 소섬유신경병증의 원인이 되고, 이에 의해 만성 신경통 및 급성 통증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 신경통은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증상이었으며, 급성 통증은 가장 적게 보고되었습니다. 만성 신경통은 남성의 경우, 급성 통증은 단기적으로 치료한 여성의 경우 유의미한 보고율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만성 신경통은 여성의 경우 유의미한 변동 사항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전형적 파브리병은 이른 나이에 시작하는 진행성 파브리병으로 정의되며 질병 기작은 매우 복잡합니다. 유럽내 파브리병 전문가 집단은 파브리병 치료를 위한 기관 특이적인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 중 5~30세 사이 환자들에 적용 가능한 목표는 사구체여과율의 안정화 혹은 사구체여과율 감소 그래프의 기울기 줄이기, 좌심실비대증 방지, 소화계 증상 완화, 그리고 만성 신경통의 수준 및 빈도 줄이기입니다. 본 연구진의 연구 결과는 해당 연령대에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투여 이후 해당 수치들이 전반적으로 회복했음을 밝혀냈습니다. 반면 지금까지의 연구는 비교적 어린 파브리병 환자들에 대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의 질병 완화 효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 제한적이었습니다.
5. 결론
비교적 젊은 파브리병 환자들에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지속한 결과,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환자는 적절한 사구체여과율 하락율을 보였습니다. 신장이 크게 영향받은 남성 환자의 경우 사구체여과율 하락율이 높았으며, 이는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치료 여부에 따라 변동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환자 자체 보고 증상은 연구 기간이 긴 경우 모두 유의미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한적이던 비교적 젊은 파브리병 환자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석에 있어서 더 넓은 범위의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논문바로가기
: https://pubmed.ncbi.nlm.nih.gov/36709533/
▶ 번역: 자원봉사자 권이혁(Jason Kwon)
Clinical outcomes among young patients with Fabry disease who initiated agalsidase beta treatment before 30 years of age: An analysis from the Fabry Registry
1. 서론
최근 전형적 파브리병 환자에 대한 파브리병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조기 검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을 시 파브리병의 진행으로 예후와 증상을 보일 가능성이 큰 젊은 환자에 대한 임상적 자료는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요법을 시작한 5세~30세 사이의 젊은 여성, 남성 파브리병 환자들의 신장 기능, 다양한 심장 관련 임상 수치, 그리고 소화계 및 신경통에 대한 임상 자료를 수집해 고찰할 것입니다.
2. 방법론
2.1. Fabry Registry : 2022년 3월 4일 기준 Fabry Registry의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Fabry Registry에는 전 세계 파브리병 환자 중 해당 프로그램에 등록한 환자의 임상 기록 및 건강 데이터를 모읍니다.
2.2. 파브리병 환자 :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요법을 시작한 5세~30세 사이의 젊은 여성, 남성 파브리병 환자의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어린 나이에 발병하는 전형적 파브리병에 대응하는 유전자, 혹은 분류되지 않은 유전자가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므로 나이가 들어서 발병한 경우, 혹은 Fabry Registry에 유전자형이 보고되지 않은 경우는 제외했습니다.
2.3. 임상 데이터 : 신장 기능은 사구체여과율로 계산했으며, 심장초음파검사는 심실 중격 두께(IVST), 좌심실 후벽 두께(LVPWT)를 측정했습니다. 환자 자체적으로 복부 통증, 설사, 파브리병 유관 신경통 등을 보고했습니다.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 중지 시의 모든 데이터는 배제했습니다.
2.4. 통계 분석 방법론 : 다양한 통계 수치를 성별, 그리고 전형적 파브리병/미분류 돌연변이에 의한 파브리병 환자군 별로 계산했습니다. 각 수치는 횟수, 퍼센트, 평균, 중간값 등으로 표현했습니다. 수치로 표현할 수 없는 카테고리 변수는 Chi-square test로, 수치로 나타낼 수 있는 변수는 Wilcoxon rank sum test를 통해 P-value(낮을수록 수치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를 계산했습니다. 이후 선형 혼합 모델을 만들어 시간 경과에 따른 사구체여과율의 변화, 그리고 IVST와 LVPWT의 Z-score를 예측했습니다. 각 분석 그룹에 대해 직선의 기울기와 y절편을 계산해 직선 그래프를 하나씩 만든 것입니다.
사구체여과율의 경우 소변 내 단백질 대비 크레아틴의 비율, 혹은 소변 내 알부민 대비 크레아틴의 비율을 활용해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집단과 적게 영향받은 집단으로 나누어, 각각 기울기를 계산했습니다.
IVST와 LVPWT는 몸 표면적에 따라 보정했으며, Z-score 수치(높을수록 평균값보다 높음)로 변환했습니다.
소화계 이상 혹은 통증에 대한 자체 보고 답변들은 ‘예’ 혹은 ‘아니요’로 정의했으며 역시 P-value를 계산해, 연구 시작 단계 대비 최종 단계에서 얼마나 많은 환자가 증상을 보였는지 비율을 비교했습니다.
모든 분석 방법론에 대해 P-value가 0.05 미만일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해석하였습니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소프트웨어 9.4를 활용했습니다.
3. 결과
3.1. 연구 시작 단계에서의 환자 현황 및 임상적 특징 : 본 연구는 524명의 남성, 261명의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5세~30세 사이였습니다. 전형적 파브리병 환자와 미분류된 돌연변이에 의한 파브리병 환자의 비율은 거의 같았습니다. 파브리병 증상을 처음 보인 나이는 남성이 더 어렸으나, 진단받은 나이는 거의 같았습니다. 처음 진단을 받고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하기까지의 시간은 남성이 더 짧았으며 치료 시작 나이도 어렸습니다.
남성 환자의 경우 사구체여과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낮았으며 IVST 및 LVPWT의 Z-score는 더 높았습니다. 만성적 신경통은 연구 시작 단계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증상이었으며, 복부 통증과 설사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급성 통증은 가장 적게 보고되었습니다.
3.2. 신장 기능 : 524명의 남성 중 140명의 데이터를 사구체여과율 예측 모델 기울기 계산에 활용했습니다. 계산 결과 사구체여과율 기울기는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집단의 경우 –1.18, 많이 영향받은 집단은 –2.39 수준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환자의 수가 적어 계산하지 않았으며,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집단의 경우 사구체여과율 예측 모델 기울기는 –0.92 수준이었습니다.
3.3. 심장 초음파 검사 : 남성의 IVST Z-score 분석 시 어린 환자, 나이든 환자로 그룹을 나누었습니다.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8, 그리고 –0.03이었습니다. 연구 개시 시점에 각 그룹의 Z-score와 연구 기간은 유사했습니다. 각 그룹에 대한 LVPWT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3, 그리고 –0.08이었습니다.
여성의 경우 남성 대비 IVST 및 LVPWT Z-score에 대한 데이터가 적었습니다. 비교적 어린 환자의 경우 IVST Z-score의 기울기가 0.003, 나이든 환자의 경우 0.10 수준이었습니다. 연구 개시 시점에 어린 여성 환자 그룹의 IVST Z-score 중간값은 0.7이었으며, 23.4세 이상 여성 환자 그룹의 중간값은 –0.2이었습니다. 각 그룹의 연구 기간은 유사했습니다. 또한, 각 그룹에 대한 LVPWT Z-score의 기울기는 각각 –0.03, 0.18이었습니다.
3.4. 자체 보고 증상 : 조사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시점에서 남성 환자의 경우 기존 대비 만성 신경통과 급성 통증의 보고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복부 통증과 설사의 보고율도 감소했으나, P-value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조사 기간이 2.5년 이상인 시점에서 복부 통증, 설사, 만성 신경통, 급성 통증 등 모든 증상에 대한 보고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조사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시점에서 여성 환자의 경우 기존 대비 설사와 급성 통증에 대한 보고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했습니다. 복부 통증과 만성 신경통의 보고율도 감소했으나, P-value가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조사 기간이 5.4년~6.1년 수준인 시점에 복부 통증에 대한 보고율은 유의미하게 감소했으나, 설사, 만성 신경통, 급성 통증에 대한 보고율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연구 시작 시점에 복부 통증, 설사, 급성 통증에 대한 설문에 “아니요”라고 답한 환자들의 대부분은 연구 종료 시점에도 각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고 보고했습니다.
4. 고찰
본 연구에서는 Fabry Registry 상의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5세~30세 남성, 여성 파브리병 환자들의 중요한 임상적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특히 신장 기능,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 그리고 자체 보고 증상에 대한 변화 추이에 대해 분석했습니다. 본 연구는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 지속 시,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남성과 여성 환자 집단에 대해 모두 유의미한 사구체여과율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신장이 많이 영향받은 남성의 집단의 경우 더 큰 감소세가 보였습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자체 보고 증상의 경우 특히 남성 환자 사이에서 높은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파브리병 특화 치료법은 그 역사가 20년을 넘어가나, 대부분의 연구는 비교적 치료를 늦게 시작하는 사례에 대한 임상 결과를 주로 다룹니다. 이 시점에는 이미 주요 기관에 돌이킬 수 없는 병리적 변화가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비교적 이른 나이에 시작하는 사례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 분석 연구는 매우 제한적입니다. 본 연구는 소아, 청소년, 그리고 비교적 어린 성인에 대해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가 파브리병에 대해 어떤 임상적 효과를 가져오는지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어린이 파브리병 환자의 경우 GL-3 분자가 다양한 신장 세포에 축적되어 세포, 그리고 조직에 손상을 가합니다. 이 손상은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거나 단백뇨가 나오기 전부터 발생합니다. 본 연구진은 신장이 얼마나 영향받았는지 정도에 따라 그룹을 분리해 신장 기능을 평가하였습니다.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그룹의 경우 적정 수준의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반면 신장이 크게 영향받은 그룹의 경우 더 사구체 여과율이 더 빠르게 감소했습니다. 또한 더 많은 나이에 치료를 시작한 남성 환자는 더 빠른 사구체 여과율 감소율을 보였습니다.
심장에 GL-3가 축적될 경우 다양한 심장 세포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이에 따라 조직 손상이 발생하며, 염증과 좌심실비대증, 심장 섬유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와 관련해서 소아, 그리고 청소년 파브리병 환자에게서 좌심실비대증의 증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개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IVST와 LVPWT의 Z-score가 거의 변동이 없음을 알아냈습니다. 하지만 일부 선행 연구에서는 좌심실비대증이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시작한 18세~29세 남성의 좌심실비대증 증상이 완화됨을 밝혀냈습니다.
복부 통증과 설사는 GL-3에 의한 장내 소섬유신경병증과 신경절병증, 혈관염, 그리고 염증성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후근신경절과 신경혈관 내피세포에서의 GL-3 축적이 소섬유신경병증의 원인이 되고, 이에 의해 만성 신경통 및 급성 통증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만성 신경통은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증상이었으며, 급성 통증은 가장 적게 보고되었습니다. 만성 신경통은 남성의 경우, 급성 통증은 단기적으로 치료한 여성의 경우 유의미한 보고율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만성 신경통은 여성의 경우 유의미한 변동 사항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전형적 파브리병은 이른 나이에 시작하는 진행성 파브리병으로 정의되며 질병 기작은 매우 복잡합니다. 유럽내 파브리병 전문가 집단은 파브리병 치료를 위한 기관 특이적인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이 중 5~30세 사이 환자들에 적용 가능한 목표는 사구체여과율의 안정화 혹은 사구체여과율 감소 그래프의 기울기 줄이기, 좌심실비대증 방지, 소화계 증상 완화, 그리고 만성 신경통의 수준 및 빈도 줄이기입니다. 본 연구진의 연구 결과는 해당 연령대에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투여 이후 해당 수치들이 전반적으로 회복했음을 밝혀냈습니다. 반면 지금까지의 연구는 비교적 어린 파브리병 환자들에 대한 아갈라시다아제 베타의 질병 완화 효과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에 제한적이었습니다.
5. 결론
비교적 젊은 파브리병 환자들에 아갈라시다아제 베타 치료를 지속한 결과, 신장이 적게 영향받은 환자는 적절한 사구체여과율 하락율을 보였습니다. 신장이 크게 영향받은 남성 환자의 경우 사구체여과율 하락율이 높았으며, 이는 조기 치료의 중요성을 역설합니다. 심장 초음파 검사 변수의 경우 전반적으로 치료 여부에 따라 변동폭이 크지 않았습니다. 환자 자체 보고 증상은 연구 기간이 긴 경우 모두 유의미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본 연구는 기존에 제한적이던 비교적 젊은 파브리병 환자에 대한 임상적 데이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하지만 해석에 있어서 더 넓은 범위의 연구가 필요할 것입니다.
논문바로가기
: https://pubmed.ncbi.nlm.nih.gov/36709533/
▶ 번역: 자원봉사자 권이혁(Jason Kwon)